일제의 식민주의 역사(歷史)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1 20:25본문
Download :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hwp
여기서는 교과서를 기본으로 하여 日本(일본)의 식민사관에 대해 살펴보고 각 理論들을 주장한 학자와 그 저서를 통해 왜곡된 사실을 확인한다. 이는 한국민족의 장구한 역싸상 단 한번 있었던 민족의 정통성(正統性)과 역싸의 단절 시기였다는 점에서 치욕을 느끼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즉, 식민주의 역싸학은 학문에 있어서의 식민통치의 일환으로, 식민지 통치를 위한 학문적 기반을 확립하여 한반도에 대한 그들의 침략행위를 합리화하고자 만들어진 것이다.
Ⅱ. 식민주의 역싸학의 성립
1. 식민주의 역싸학의 근거 및 내용
식민주의 역싸학은 일제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왜곡된 한국사관이다. 그 중에 하나로 선택한 것이 바로 한반도 역싸에 대한 왜곡이었다.
Download :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hwp( 74 )
설명
Ⅰ. 序 論 2
Ⅱ. 식민주의 역싸학의 성립 3
1. 식민주의 역싸학의 근거 및 내용
2. 식민주의 역싸학의 의도
3. 주도기관 및 대표작업
4. 식민주의 역싸학이 미치는 effect
5. 식민주의 역싸학의 성격 및 목적
Ⅲ. 식민주의 역싸학의 내용 4
1. 일선동조론 4
(1) 일선동조론의 근거 및 내용
(2) 일선동조론의 대표학자
(3) 일선동조론의 주장
(4) 일선동조론의 활용 및 평가
2. 타율성론 5
(1) 타율성론의 근거 및 내용
(2) 만선사관
(3) 반도적성격론
(4) 타율성론의 주장과 왜곡된 사실
3. 정체성론 6
(1) 정체성론의 근거 및 내용
(2) 정체성론의 대표학자
(3) 정체성론의 규명
(4) 정체성론의 불합리한 이치
3. 당파성론 7
(1) 당파성론의 근거 및 내용
(2) 당파성론의 대표학자
(3) 당파성론의 특징
(4) 당파성론의 규명
Ⅳ. 結 論 9
Ⅰ. 序 論
우리나라는 1910년 8월 29일 국권피탈로 대한제국이 멸망하게 되고 1945년 8월 15일 광복에 이르기까지 일제강점하의 식민통치시기를 보냈다. 조선민족은 그 민족적 자질에서부터 식민지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일제의식민주의역사(歷史)학
,사범교육,레포트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일제의식민주의역사학 ,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歷史)학
순서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歷史)학에 대한 data(資料)입니다.
3. 주도기관 및 대표작업
일제의 식민주의 역싸학을 주도한 기관으로는 동경제국대학, 조선사편수회, 경성국제대학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 특히 조선사편수회가 가장 대표적인 작업을…(skip)
다. 그리하여 日本(일본)의 한반도 역싸에 대한 연구가 스타트되고 각종 역싸서적을 편찬하면서 역싸왜곡과 식민사관의 주입이 스타트되었다.
2. 식민주의 역싸학의 의도
곧 식민주의 역싸학은 한국인에게는 패배의식을 조장시키고 자신들의 식민통치는 정당화함으로써, 결국 식민통치에 대한 한국인의 저항의식을 마비시키고 식민통치를 영속화 시키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日本(일본)은 조선을 식민지로 손에 넣은 이후 우리민족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할 수단을 찾게 된다된다. 또한, 당시 시대의 상황을 밝힘으로 일선동조론, 타율성론, 정체성론, 당파성론의 주장에 대한 규명을 통해 제대로 된 역싸의 뿌리를 찾아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