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d.co.kr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 cord8 | cord.co.kr report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 cord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rd8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1 23:41

본문




Download :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hwp





1) 향가의 개념 및 특질
다. 신재홍, “향가의 해석”(서울 : 집문당, 2000), p. 286. 해석은 의역을 따름.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1300_01_.jpg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1300_02_.jpg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1300_03_.jpg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1300_04_.jpg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1300_05_.jpg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금 남아있는 향가의 수는 채 30수가 되지 않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향가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그 대안으로 현대문학 지도에 많이 쓰이고 있는 反應중심 학습모형을 이용한 향가지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서울 : 태학사, 2003), p. 17
하지만 이런 어려움 때문에 우리 민족의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민족문학의 커다란 축인 향가문학 지도를 포기할 수는 없다. 문학 학습의 첫걸음이 주어진 텍스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데서 비롯된다면, 텍스트 해석의 어려움은 문학 지도를 출발부터 힘들게 하는 것이다. 간추려보면 “自矣心米”를 “저의 마음이”라고 읽는다는 것이다. 하물며 향찰이라는 독특한 문자를 이용한 향가를 학생들에게 지도한다는 것이 가지는 어려움이란 재언의 여지도 없다. 이전에도 몇몇 고대 가요들이 전해오고 있지만 그들은 모두 구전가요였다. 임동민, “고등학교 향가수업measure(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p. 8. 이에 따르면 향가는 삼국유사, 균여전에 전하는 25수가 전부라고 한다. 고전문학에 사용되는 전달매체인 고어는 아직 지적 능력이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외국어에 비견될 정도로 해석하기가 쉽지 않다.
.
.

향가는 우리나라의 문학 중 최초로 기록된 문학이다.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Download :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hwp( 30 )


Ⅱ. 본론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1. 향가
그 해석방법이 얼핏 단순한 듯 보이나 현존하는 향가의 수가 부족함에 따른 근거 미비로 향가 해석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는 상당부분 서로 합의되지 않고 있다아
순서


.



향가는 다양한 계층에 있는 작가들에 의해 창작되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설명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反應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향가지도의 실제


향가의 표기상 특징은 향찰을 이용하였다는 것이다. 향찰은 아직 우리 글자가 없던 시절, 중국(China)의 문자인 한자를 가져와 뜻과 음을 번갈아 사용하여 우리말을 표현하던 문자표기 형태이다. 예를 들어보자. “우적가”첫 행에 “自矣心米”라는 향찰 표기가 있다아 여기에서 自와 心은 뜻을 읽어 각각 “저”와 “마음”이라고 읽고나서 矣와 米는 음을 읽어 “의”와 “미”라고 읽는다. 그 어려움은 두 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아 먼저 문장해석의 어려움이다. 국왕이 직접 그 제작을 명한 향가집이 있을 정도였다. 그 향유층 또한 다양하여 신라를 대표하는 문학으로 인식되어진다. 또한 형식면에서 볼 때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이다. 또 하나 고전문학은 그 당시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을 품고 있다아 문학이라는 것이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므로 문학 텍스트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그들만의 인식과정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것은 문학이해의 커다란 난제일 수밖에 없다.
고전문학을 어린 학생들에게 지도한다는 것은 현장 교사들에게 난제일 수밖에 없다. 신라시대 향가는 사람들 사이에 널리 통용되고 많이 불리어진 인기 있는 문학 장르였던 것으로 파악된다된다.
전체 18,07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r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