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12:30본문
Download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hwp
잡가를 부르는 이들은 창법적인 면에 있어서 남도의 창법이 차용되고 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사실 십이잡가 가운데 유산가와 월령가 등 몇 개를 제외한 나머지 곡은 모두 춘향가 등 판소리의 유명한 대목을 사설로 얹어서 부르고 있어 잡가와 판소리의 연관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설명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2. 잡가의 장르 규정에 대한 논쟁
Download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hwp( 60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이에 따라 이 보고서에서는 잡가를 가사, 판소리, 민요와의 다양한 연관관계를 지어서 살펴본 후, 잡가를 담당했던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따라서 잡가는 특정 장르의 명칭이라고 하기보다는 종합적인 성격의 명칭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잡가는 원래 음악의 명칭이다. 그러나 현재 가사는 정가를 부르는 부류에 의해서 전승되고 있고, 잡가는 창(昌)민요를 부르는 가수들에 의해 전승이 되고 있는 등 전승되고 있는 계통은 전혀 달라서 서로 간에 아주 다른 음악장르로 각각 분류하고 있다. 이노형, 「고려속요와 잡가의 상관관계」, 울산어문논집 9집, 1994, p.11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지금까지 잡가의 장르적 특성이 뚜렷하게 밝혀지지 못하였고, 또 그 장르의 관념이나 범주도 불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7452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C%9E%A1%EA%B0%80%EC%9D%98%20%EC%9E%A5%EB%A5%B4%EC%A0%81%20%EC%84%B1%EA%B2%A9%EA%B3%BC%20%EB%8B%B4%EB%8B%B9%EC%B8%B5%20%5D-7452_01_.jpg)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7452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C%9E%A1%EA%B0%80%EC%9D%98%20%EC%9E%A5%EB%A5%B4%EC%A0%81%20%EC%84%B1%EA%B2%A9%EA%B3%BC%20%EB%8B%B4%EB%8B%B9%EC%B8%B5%20%5D-7452_02_.jpg)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7452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C%9E%A1%EA%B0%80%EC%9D%98%20%EC%9E%A5%EB%A5%B4%EC%A0%81%20%EC%84%B1%EA%B2%A9%EA%B3%BC%20%EB%8B%B4%EB%8B%B9%EC%B8%B5%20%5D-7452_03_.jpg)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7452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C%9E%A1%EA%B0%80%EC%9D%98%20%EC%9E%A5%EB%A5%B4%EC%A0%81%20%EC%84%B1%EA%B2%A9%EA%B3%BC%20%EB%8B%B4%EB%8B%B9%EC%B8%B5%20%5D-7452_04_.jpg)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7452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C%9E%A1%EA%B0%80%EC%9D%98%20%EC%9E%A5%EB%A5%B4%EC%A0%81%20%EC%84%B1%EA%B2%A9%EA%B3%BC%20%EB%8B%B4%EB%8B%B9%EC%B8%B5%20%5D-7452_05_.jpg)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
다.
순서
흔히 가사와 잡가는 앉아서 부른다는 점과 수성가락의 반주, 그리고 대부분 도드리 장단으로 되어있다는 여러 가지의 접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정가를 부르는 이들은 정가 이외의 모든 노래를 잡가라고 칭하고 판소리를 하는 사람들은 판소리 이외의 것을 모두 잡가라고 칭하였다. 뿐만 아니라 잡가는 민요와도 많은 연관성을 보이기 때문에 민요와 잡가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 또한 있다. 음악적인 면의 잡가는, 성경린의 주장에 따르면 민속음악에 속하며 ‘잡스러운 노래’라는 의미다. 특히 가창가사의 하나인 십이가사(十二歌辭)는 십이잡가(十二雜歌)와 여러 면에서 유사한 면이 있기 때문에 이는 잡가를 가사의 하위부류라고 보는 입장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잡가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집단이 누구인가에 의해서 ‘잡가’의 지시대상이 달라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