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의 훈민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2 18:38본문
Download : 정철의 훈민가.hwp
정철의훈민가 , 정철의 훈민가감상서평레포트 ,
다. 일명 경민가(警民歌) 이후원(李厚源, 1598~1660)의 『경민가언해(警民歌諺解)』에 「훈민가(訓民歌)」가 수록됨, 또는 권민가 라고도 한다.
3. 훈민가 16수의 제명(題名)
①부의모자(父義母慈) ②형우제공(兄友弟恭)
③君臣(군신) ④자효(子孝)
⑤부부유은(夫婦有恩) ⑥남녀유별(男女有別)
⑦자제유학(子弟有學) ⑧향여유례(鄕閭有禮)
⑨장유유서(長幼有序) ⑩붕우유신(朋友有信)
⑪빈궁우환친척상구(貧窮憂患親戚相救) ⑫혼인사상인리상조(婚姻死喪隣里相助)
⑬무정농상(無情農桑) ⑭무작도적(無作盜賊)
⑮무학도박무호쟁송(無學賭博無好爭訟) ⑯반백자불부다(斑白者不負戴)
4. 훈민가 감상
(제1수)
아바님 날 나시고 어마님 날 기시니,
두 분 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실가.
하 업 은덕(恩德)을 어 다혀 갑오리.□풀이
아버님께서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께서 나를 기르시니
두 분이 아니었다면 이 몸이 태어나 살 수 있었을까.
하늘같이 끝이 없는 큰 은혜를 어떻게 다 갚을 수 있을까.
□주제 - 부의모자(父義母慈). 초장의 내용은 부생모육(父生母育)이라는 가…(투비컨티뉴드 )
정철의훈민가
,감상서평,레포트
송강 정철과 훈민가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레포트/감상서평
정철의 훈민가
Download : 정철의 훈민가.hwp( 87 )






설명
송강 정철과 훈민가에 대상으로하여 說明(설명) 했습니다.
순서
2. 훈민가
연시조로 된 훈민가 16수는 송강이 45세, 강원도 observation사로 있을 때 지은 것으로 그의 시조 중에서 그 제작 연대와 동기가 바교적 분명하게 밝혀져 있는 유일한 것이다. 그 근본을 살펴보자면, 송나라 진양이 지은 선거권유문 13조 항목에다 군신(君臣), 장유(長幼), 붕우(朋友)의 3조목을 추가하여 읊은 것이다. 따라서, 그 내용은 강원도민의 교화(敎化)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유교의 윤리를 주제로한 일종의 교훈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