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과학교육theory 및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8 14:09본문
Download : 유아과학교육이론 및 시사점.hwp
그러므로 두 사고는 상호 보완하는 관계이다. 이러한 발견학습은 학습자의 지적 능력을 증진시킨다.
Ⅰ. 서 론 ·············································· 1
Ⅱ. 본 론 ·············································· 1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理論) ································· 1
1) 인지발달의 과정
2) 인지발달 단계
3)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2. 브루너의 탐구학습이론(理論) ································· 2
1) 나선형 교육과정
2) 발견학습
3)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3.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학습이론(理論) ··················· 4
1) 자발적 concept(개념)과 과학적 concept(개념)
2) 근접발달지대
3) 교사의 역할 : 단계별 지지
4)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4. 콜버그의 도덕적 사고발달이론(理論) ······················· 5
1) 도덕적 사고의 발달단계
2)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5.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理論) ································ 6
1) 가드너 이론(理論)의 주요 내용
2)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Ⅲ. 결 론 ··············································· 7
※ 참 고 문 헌 ··························································· 8
2. 브루너의 탐구학습이론(理論)
1) 나선형 교육과정
나선형 교육과정이란 한 학문의 concept(개념)이나 원리 등이 그 지적 성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발달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세련된 형태로 가르치도록 계획된 교육과정을 말한다(권재술 외, 2001). 이것은 유아의 수준에 맞는 표현양식에 따라 교수방법을 달리하면 지식의 구조를 이해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발견학습 과정을 통해 발견하는 방법과 그 속성 또는 탐구적 발견법을 학습하게 된다된다. 이러한…(省略)
유아과학교육theory 및 시사점
유아과학교육이론에 대해서 조사하고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정리하였습니다.
2) 발견학습
발견학습이란 학습자가 어떤 과학적 concept(개념)이나 원리를 동화하는 정신적 과정에 따라 가능하며, 그 과정은 일반적으로 observe·분류·측정(測定) ·예측·서술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된다. 그러므로 어떤 지식이든지 유아의 사고방식에 맞추면 어려서부터 가르칠 수 있고, 그 지식은 고학년이 되면 그 수준의 사고방식에 맞추어 몇 번이고 다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 나선형 교육과definition 기본 concept(개념)이다. 발견학습은 학습자의 기억을 회상하는 데 효과(效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된다.
브루너는 지식 또는 그 지식과 관련된 모든 문제들은 무엇이든지 구체적인 행위로 표현할 수 있고(활동적 표현), 도해, 사진, 그림 등으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영상적 표현), 상징적 또는 논리적 명제로 표현할 수도 있다(상징적 표현)고 하였다. 그래서 어떤 concept(개념)을 설명(說明)할 때 이 방식으로 가르치면 누구에게나 가르칠 수 있다고 본다. 직관적 사고는 가설을 세우고, 分析(분석)적 사고는 가설의 내용을 논리적으로 分析(분석)하는 역할을 한다.유아과학교육이론및시사점 , 유아과학교육이론 및 시사점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유아과학교육이론 및 시사점.hwp( 16 )
순서
유아과학교육theory 에 대하여 조사하고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요점하였습니다.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사범교육,레포트






유아과학교육theory 및시사점
다.
한편 브루너는 이러한 발견학습에서 分析(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유아들은 자신의 행동과 마음을 통해서 스스로 지식을 획득하고 행위를 해석한다.
이와 같이 브루너는 발견학습에 대한 견해와 더불어 어떤 영역의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지식을 앎으로써 그 영역의 전체적인 구조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