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20:09
본문
Download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hwp
정재호(1982)는 국문학계의 견해를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arrangement)해 놓았다.
2. 잡가의 성격(정체)
2.1. 잡가의 개념
.
4. 나오며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Download :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hwp( 59 )
2.2. 잡가의 특징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목차>
⑧ 문자상 정착되지 못했다.
3. 잡가의 담당층
가사가 속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2.3. 잡가와 타시가의 유형과의 관계
첫째, 잡가는 가사의 하위분류에 속하는 시가(詩歌)라 보았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다. 민요가 일반 서민들이 부르는 노래였다면 잡가는 전문 음악인의 노래라 할 수 있따 사설(가사)는 서민들의 희노애락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경기 12조창은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이다.
⑤ 형식은 가사식 연속체와 장가식 분장체로 나뉜다.
잡가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의 언급이 있지만, 앞서 말했듯이 본인은 그 중에서도 일반 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몇 개의 견해만 살펴보고자 한다. 창법은 굵고 폭이 넓은 요성(搖聲)을 쓴다. 잡가는 보통 민요에 대비되는 작은 뜻으로 크게는 잡가, 입창, 민요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2. 잡가의 장르적 성격(정체)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목차> 1. 들머리 2. 잡가의 장르적 성격(정체) 2.1. 잡가의 개념 2.2. 잡가의 특징 2.3. 잡가와 타시가의 유형과의 관계 2.4. 잡가의 내용 3. 잡가의 담당층 4. 나오며
① 잡가는 시가의 유형적 명칭이 못 된다. 조윤제의 경우 최명걸(1985,22), 잡가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잡가는 전통사회에서 전승되어 조선말기에서 20세기 초에 특히 성행하였던 노래의 하나로서 전문 예능인들의 노래, 곧 기생, 사당패, 소리꾼과 같은 전문가들이 긴 사설의 가사를 선율에 얹어 부르던 세속적인 노래를 말한다. ‘긴잡가’에는 유산가, 적벽가, 집장가, 제비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의 12곡이 있어 12잡가라 한다.
④ 민요에서 발달하여 고려시대, 고속가(古俗歌)에 계통이 닿는다.
2.4. 잡가의 내용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여기서는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잡가의 담당층에 대한 학계에서의 여러 의견을 조합해보며 규명해보려고 한다.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
잡가는 앉아서 부르는 ‘경기잡가’와 ‘서도잡가’, 그리고 서서 부르는 ‘선타령’으로 나눌 수 있따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지역에서 불려졌던 경기잡가는 ‘긴잡가’와 ‘휘모리잡가’로 나뉘어진다.
순서





1. 들머리
⑥ 가사식 연속체는 가사가 속화한 것이다.
③ 곡조가 위주고 가사는 곡조에 의해 존재한다. 장단은 대개 6박자의 도드리 장단이며 사설의 내용은 서민들의 희노애락을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
2.1.1. 국문학계의 견해
⑦ 분장체는 후렴구가 있고 고려의 장가에 그 계통이 닿으며 일종의 민요다.
2.1. 잡가의 관념
.
② 속가라 불러도 좋으며 보통 가곡에서 사용되는 가사를 의미한다.
- 조윤제의 국문학개론에 있는 내용을 몇 가지로 요약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