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d.co.kr 사단칠정 논쟁 > cord3 | cord.co.kr report

사단칠정 논쟁 > cord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rd3

사단칠정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4 10:30

본문




Download : 사단철정 논쟁.hwp




물론 양자 간에 관념적인 차이는 없다. 네 가지로 나누든 일곱 가지로 나누든 인간의 감정 일반을 통칭했다는 점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3.결론
설명


3. 3차 논쟁


2. 현대적 의의

사단칠정 논쟁, 사단칠정, 기대승의 문제 제기
사단(四端)은 맹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관념으로 인간의 4가지 착한 본성, 순수한 선 (善)을 말한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성선설을 주장하였다.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欲)’ 이렇게 7가지로 구성되어 있다아 하지만 성리학자들이 문제 삼는 것 은 대체로 ‘중용(中庸)’에서 언급한 `희(喜)·노(怒)·애(哀)·락(樂)`의 네 가지 감정을 의미한 다.
순서

사단철정 논쟁-5803_01_.jpg 사단철정 논쟁-5803_02_.jpg 사단철정 논쟁-5803_03_.jpg 사단철정 논쟁-5803_04_.jpg 사단철정 논쟁-5803_05_.jpg

3.結論(결론)


Download : 사단철정 논쟁.hwp( 26 )



1. 1차 논쟁
2. 2차 논쟁

사단칠정 논쟁입니다
목차

목차 및 미리보기 참고해 주세요

(1) 기본관념요점

3. 3차 논쟁
본문내용


목차
1. 사단칠정논쟁



레포트 >
1. 사단칠정논쟁

2. 현대적 의의
사단칠정 논쟁

1. 1차 논쟁





사단칠정 논쟁입니다 목차 및 미리보기 참고해 주세요 목차 1. 사단칠정논쟁 1. 1차 논쟁 2. 2차 논쟁 3. 3차 논쟁 2. 현대적 의의 3.결론


칠정(七情)은 사단(四端)과는 차원이 다른 감정이다. 측은지심은 남의 어려움을 보았을 때 마음속에서 저절로 생겨나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일컫는 말로써 보상을 요구하거나 사람들의 비난을 두려 워하여 인위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예기(禮記)’에서 처음으로 다뤄진 이 관념은 인간의 7가지 감정을 말하며, 완전한 선(善)인 사단(四端)과는 달리 칠정(七情) 은 유선유악(有善有惡)으로써 선악이 섞여있는 상태이다.
2. 2차 논쟁
1. 사단칠정논쟁


다. 이 밖에도 자기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 못을 미워하는 수오지심, 남에게 양보하는 사양지심, 옳고 그름을 따지려는 시비지심 등이 사단을 구성하고 있다아 이는 또한 인, 의, 예, 지의 실마리(단서)가 되기도 한다. 사단(四端)중에서도 맹자가 가 장 중시한 것은 측은지심이었다.
전체 18,02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r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