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d.co.kr 타감작용 > cord3 | cord.co.kr report

타감작용 > cord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rd3

타감작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9 21:13

본문




Download : 타감작용.hwp





타감작용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Download : 타감작용.hwp( 78 )








레포트/생활전문
,생활전문,레포트
설명



순서
타감작용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생체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vanillic acid, syringic acid, ferulic acid등은 5% 이하의 적은 량을 hydroxybenzoic acid는 14% 전후를 차지하고 있었다.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는 알팔파가 함유한 phenol compounds중 sali…(생략(省略))
타감작용

다. 따라서 알팔파 재배지에서의 연작장애나 타작물, 또는 잡초의 발아와 생육을 억제하는 것은 이 러한 물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henol compoundsppm / 5g% of total phenol compounds1Salicylic acid1,92769.82Hydroxybenzoic acid37213.53Vanillic acid1375.04Syringic acid501.85Coumaric acid1716.26Ferulic acid1053.8Total2,762
< 알팔파 줄기 부분의 Phenol compound 분석 결과 >

☞ Alfalfa의 생체추출물은 작물(알팔파, 보리, 호밀, 참께) 및 잡초(피, 강아지풀, 쇠비름)의 발아 및 부리의 줄기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생체추출 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reaction response의 차이를 보였다.타감작용 , 타감작용생활전문레포트 ,



타감작용



타감작용_hwp_01.gif 타감작용_hwp_02.gif 타감작용_hwp_03.gif 타감작용_hwp_04.gif 타감작용_hwp_05.gif 타감작용_hwp_06.gif
◆ experiment(실험) 결과
: Gas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알팔파 줄기 부분의 phenol compounds를 분석한 결과 이 중 salicyl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전체 phenol compound의 70%정도를 차지하였다. 또한 알팔파 건조분말 추출물질도 알팔파, 보리, 참께 및 잡초(바랭이, 털진득찰, 쇠비름, 피)등의 발아율, 줄기 및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추출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건조분말 농도가 10% 이상이었을때 털진득찰, 쇠비름등의 발아가 전혀 안되었으며 강아지풀은 15%만 발아가 되었다.
전체 18,02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r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