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 마그네슘의 연소 反應(반응)을 이용한 산소의 원자량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8 06:33
본문
Download : 일반화학 -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hwp
1. 실험 목적
원자량의 관념은 1803년 J.돌턴의 원자설에 의하여 처음으로 도입되어 1805년 최초의 원자량표가 발표되었다.
일반화학 - 마그네슘의 연소 反應(반응)을 이용한 산소의 원자량 결정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본문)
순서
1. 실험 제목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 이용한 산소의 원자량 결정 1. 실험 목적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 통하여 결합한 산소의 원자량을 구해낸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원자량은 국제원자량이 쓰이는데, 국제순수 및 응용물리학연합(IUPAP)과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합(IUPAC)이 1961년 통일원자량으로서 발표, 국제원자량위원회가 이를 채택한 것이다.
2. experiment(실험) 理論(이론)
* 조사할 내용
일반화학,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산소의 원자량 결정
1. 실험 タイトル(제목)
요약)
Download : 일반화학 -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hwp( 74 )
마그네슘의 연소 反應(반응)을 이용한 산소의 원자량 결정
다. 이 값은 그렇게 정확하지 못하였으나 J.J.베르셀리우스에 의해 상당히 정밀하게 측정하게 되어 experiment(실험)적인 지지를 얻게 되었다. 탄소 12의 원자량을 12.00000로 기준삼아 다른 원자들의 원자량을 정한다.
1) 원자량
단, 그 절대값이 매우 작으므로 한 원소의 원자를 어떤 일정한 수로서 기준을 삼아, 나머지는 모두 이 기준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서 표시한다.
설명
각 원소의 원자의 질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동위원소의 존재비율도 고려하여 원자의 총 원자량을 구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탄소원자의 원자량은 12.01115으로, 자연에서 탄소를 6.02×1023개 모으면 12.01115g이라는 뜻이다. 즉, 자연계에 존재하는 산소원자에는 16O, 17O, 18O인 3종의 동위원소가 있는데, 그들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 이 세 동위원소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平均(평균)하여 16.00000을 平均(평균)상대질량으로 한 것을 화학에서는 써왔다.





마그네슘의 연소 反應(반응)을 통하여 결합한 산소의 원자량을 구해낸다. 그 후에도 많은 연구·측정이 실시되었으나 항상 원자량·당량·분자량 사이의 혼란이 있었는데 1860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S.카니차로에 의하여 근대적 원자량 측정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이것을 화학적 원자량이라 한다. 즉, 탄소원자가 6.02×1023개 모이면 그 질량은 12.01115g이고, 수소원자·산소원자가 6.02×1023개 모이면 각각 1.00797g, 15.9994g인 질량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탄소의 동위원소 중 탄소 12를 기준으로 하여 이것을 원자량 12.00000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많은 혼란 끝에 결국 산소를 기준으로 삼아 그 원자량을 16.00000으로 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