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제물론 讀後感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4 22:44
본문
Download : 장자의 제물론 독후감.hwp
즉, 장자는 제물론을 통하여, 우리가 우리의 실존적 한계성을 초월하여 궁극적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대립의 세계에서 벗어나 대립을 초월한 ‘하나의 세계’ 를 꿰뚫어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사물을 한쪽에서만 보는 편견을 버리고 전체적으로 봄으로써, 동일한 사물이 이것도 되면서 저것도 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장자의 주장대로라면, 옳음과 그름이라는 concept(개념) 자체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일반적 편견과 선입견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분법적인 사고의 틀, 즉 시비를 따지는 마음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장자의 주장은, 21世紀를 살아가는 우리 현대인들의 현실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순서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장자의 제물론 독후감.hwp( 59 )
장자,제물론,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장자의 `제물론`
제물론의 ‘제(齊)’는 ‘고르게 하다’, ‘물(物)’은 ‘사물’, ‘론(論)’은 ‘이론(理論)’을 뜻하는 말로 ‘사물을 고르게 하는 데 대한 이론(理論)’으로 해석할 수 있따 제물론의 논의의 초점은 ‘제(齊)’에 있따 ‘제(齊)한다’고 하는 것은 ‘하나로 한다’ 라는 의미로, ‘이것이냐 저것이냐’ 에서 한쪽만을 택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도 저것도’ 라는 양쪽 모두를 다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일상의 이분법적 의식 세계에서 벗어나 초 이분법적 의식 세계로 들어가야 한다는 장자의 주장처럼 현대사회를 살아가게 된다면, 사회 구성원들은 서로를 불신하게 되고 더 나아가 우리 공동체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파괴할 수도 있따
우리 사회에 범죄행위를 저지른 범죄자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분법적 의식 세계에 기초하여 현대사회에서 삶을 영위하는 우리들은, 이러한 범죄행위에 대해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범죄자에게 그 책임을 묻는다. 또한 범죄행위로 인해 피해를 받은 사람조차도, 범죄자가 아무런 제제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생략(省略))
장자의 제물론 독후감 , 장자의 제물론 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 장자 제물론 독후감


장자의 제물론 讀後感
장자의 제물론 讀後感
다. 따라서 장자와 같은 생각을 가진 개인이 모여 이루어진 사회라면, 범죄자가 범죄행위를 저지른다고 해도 그 행위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범죄자에게 부여되지 않음을 알고, 죄의식 없이 범죄행위를 계속해서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