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d.co.kr [PIC] 한문 논어 - 논어집주 학이편(1~13장) > cord1 | cord.co.kr report

[PIC] 한문 논어 - 논어집주 학이편(1~13장) > cord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rd1

[PIC] 한문 논어 - 논어집주 학이편(1~13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8 08:02

본문




Download : 한문 논어.hwp







한문 논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한문 논어 - 논어집주 학이편(1~13장)기타레포트 , 한문 논어

순서
설명
레포트/기타


한문%20논어_hwp_01.gif 한문%20논어_hwp_02.gif 한문%20논어_hwp_03.gif 한문%20논어_hwp_04.gif 한문%20논어_hwp_05.gif 한문%20논어_hwp_06.gif





다.

Download : 한문 논어.hwp( 34 )




한문,논어,기타,레포트

논어집주 학이편(1~13장)
[주해] 此爲書之首篇, 故所記多務本之意, 乃入道之門? 積德之基? 學者之先務也. 凡十六章.

[1-1]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주해] 說? 悅同. ○學之爲言效也. 人性皆善, 而覺有先後, 後覺者必效先覺之所爲, 乃可以明善而復其初也. 習, 鳥數飛也. 學之不已, 如鳥數飛也. 說, 喜意也. 旣學而又時時習之, 則所學者熟, 而中心喜說, 其進自不能已矣. 程子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 浹洽於中, 則說也. 」 又曰: ?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 故說. 」 謝氏曰: 「時習者, 無時而不習. 坐如尸, 坐時習也; 立[一]如齊, 立時習也.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주해] 樂, 音洛. ○朋, 同類也. 自遠方來, 則近者可知. 程子曰: 「以善及人, 而信從者衆, 故可樂. 」 又曰: 「說在心, 樂主發散在外.」

人不知而不?, 不亦君子乎?
[주해] ?, 紆問反. ○?, 含怒意. 君子, 成德之名. 尹氏曰: 「學在己, 知不知在人, 何?之有.」 程子曰: 「雖樂於及人, 不見是而無悶, 乃所謂君子.」 愚謂及人而樂者順而易, 不知而不?者逆而難, 故惟成德者能之. 然德之所以成, 亦由學之正? 習之熟? 說之深, 而不已焉耳. ○程子曰: 「樂由說而後得, 非樂不足以語君子. 」

[1-2] 有子曰: 「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也. [주해] ●弟? 好, 皆去聲. 鮮, 上聲, 下同. ○有子, 孔子弟子, 名若. 善事父母爲孝, 善事兄長爲弟. 犯上, 謂干犯在上之人. 鮮, 少也. 作亂, 則爲悖逆爭鬪之事矣. 此言人能孝弟, 則其心和順, 少好犯上, 必不好作亂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 [주해] 與, 平聲. ○務, 專力也. 本, 猶根也. 仁者, 愛之理, 心之德也. 爲仁, 猶曰行仁. 與者, 疑辭, 謙退不敢質言也. 言君子凡事專用力於根本, 根本旣立, 則其道自生. 若上文所謂孝弟, 乃是爲仁之本, 學者務此, 則仁道自此而生也. ○程子曰: 「孝弟, 順德也, 故不好犯…(To be continued )

한문 논어 - 논어집주 학이편(1~13장)


한문 논어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전체 18,08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r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