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d.co.kr [민법] 민법의 통칙 > cord1 | cord.co.kr report

[민법] 민법의 통칙 > cord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rd1

[민법] 민법의 통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27 12:09

본문




Download : [민법] 민법의 통칙.hwp





② 통일정비가 곤란
③ 법질서의 안정을 해한다.


[민법],민법의,통칙,법학행정,레포트
설명
[민법] 민법의 통칙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大判 1983. 6. 14. 80다3231)

(2) 관습법의 법원성(§1)

□판례□
관습법은 바로 法源으로서 법령과 같은 효력을 갖는 관습으로서 법령에 저촉되지 않는 한 법칙으로서의 효력이 있다아(大…(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민법] 민법의 통칙.hwp( 81 )



다.
② 사회사정이 변천에 곧 adaptation(적응) 하기 어렵다.
③ 법질서가 안정적이다.
① 법이 명확하지 않다.


Ⅱ. 成文民法
① 민법전 ② 민법전 이외의 법률(이자제한법, 부동산등기법, 호적법, 주택임대차보호법 등) ③ 명령, 대법원규칙, 조약, 자치법규(조례?규칙)

Ⅲ. 不文民法
1. 慣習法
(1) 성립요건
① 법적 내용에 관한 민사관습이 있을 것
② 관행이 일정기간 계속되고, 일정지역에 걸쳐 행하여 질 것
③ 법적 확신이 있을 것
④ 공서양속에 반하지 않을 것
⑤ 법률과 충돌되지 않을 것

□판례□
[관습법의 의의] … 관습법이란 사회의 거듭된 관행으로 생성한 사회생활규범이 사회의 법적 확신과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 승인 강행되기에 이르른 것을 말한다.
① 법질서가 경화되지 않고, 유동적이어서 구체적 타당성에 보다 유효하다. , [민법] 민법의 통칙법학행정레포트 , [민법] 민법의 통칙

순서
[민법]%20민법의%20통칙_hwp_01.gif [민법]%20민법의%20통칙_hwp_02.gif [민법]%20민법의%20통칙_hwp_03.gif [민법]%20민법의%20통칙_hwp_04.gif

[민법] 민법의 통칙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단점
① 법질서가 유동적이 못되어 구체적 타당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레포트/법학행정





[민법] 민법의 통칙

민법의 통칙


제1절 民法의 意義


1. 一般私法(상법은 특별사법), 實體法(민사소송법은 절차법)
2. 形式的 民法과 實質的 民法 : 민법전은 형식적 민법, 실질적 민법은 사법 중 ?상법기타 특별사법?을 제외한 일반사법을 말함.


제2절 民法의 法源


Ⅰ. 法源의 意義(민법 제1조)
1. 民法 제1조의 意味
민사관계의 법원은 法律, 관습법, 조리이나 관습법은 법률이 없을 때 보충적으로 적용되고, 조리는 관습법도 없을 때 최종적으로 적용됨.

2. 成文法主義(우리민법)와 不文法主義의 長?短點


성문법주의
불문법주의
advantage(장점)
① 법률의 명확화를 기할 수 있다아
② 법의 통일정비가 용이하다.
② 법의 진화가 보다 용이하다.
전체 18,08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r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