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d.co.kr 2021년 2학기 중세국어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point체크 > cord1 | cord.co.kr report

2021년 2학기 중세국어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point체크 > cord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rd1

2021년 2학기 중세국어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poin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4 05:11

본문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국문3_중세국어의이해.pdf




1) 훈민정음의 두가지 뜻



제12장 훈민정음 언해


30893_005.jpg
② 훈민정음언해는 한문본의 본문(세종서문+예의)만을 번역한 책


② 문자 훈민정음에 대하여 설명한 책의 이름
중세국어의이해,방통대중세국어의이해,방송대중세국어의이해,중세국어의이해시험,중세국어의이해요약,중세국어의이해출석수업대체
제12장 훈민정음 언해
1. 『훈민정음언해』해설
2021년 2학기 중세국어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point체크
순서


① 문자의 이름 - 한글의 옛이름






제12장 훈민정음 언해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국문3_중세국어의이해.pdf( 60 )



④ 월인석보의 책머리에 훈민정음언해가 실려 있는 것은 이들 책이 새로 창제된 문자인 훈민정음을 사용하여 쓰여진 것이기 때문임



③ 현재 서강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월인석보 권1 앞에 실려 있는 것이 가장 오래되고 완전함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2) 훈민정음과 훈민정음언해



- 중략 -
① 훈민정음(해례본)은 1446년(세종28)에 간행된 한문본 원본
설명
⑤ 월인석보의 훈민정음언해에는 해례본에는 없는 치두음과 정치음의 규정이 추가되어 있음
다.
전체 18,08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r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