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안도다다오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2 10:17본문
Download : 건축가 안도다다오에 대해.hwp
설명
안도는 1973년, `도시주택`이라는 건축잡지에 도시 속의 주거에 비중을 ...
비평행위로서의 제시
안도는 1973년, `도시주택`이라는 건축잡지에 도시 속의 주거에 비중을 두고 거기에서 인간성을 회복한다는 획기적인 주택계획을
주장한 `도시게릴라 주거`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안도는 이러한 합리주의와 경제 효율주의에 입각한 Japan의 건축과 도시에 의문을 제기하여 생활과 관련된 건축의 본질적 의미에
주목하여 왔다.
이제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도시주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 Japan건축학회상을 수상한 <스미요시 나가야>를 말하려 한
다. . 이 작품이 Japan의 유명한 건축상인 요시다 이소야상의 후보로 추천되었을 때 심사위원인(原因) 무라노 토오고씨는 `
이 작품의 좋고 나쁨을 떠나 이렇게 좁은곳에서 생활을 하고…(생략(省略))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비평행위로서의 제시 안도는 1973년, `도시주택`이라는 건축잡지에 도시 속의 주거에 비중을 ... , 건축가 안도다다오에 대해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비평행위로서의 제시
건축가 안도다다오에 대해
Download : 건축가 안도다다오에 대해.hwp( 88 )
다.
이 작품에서 안도는 Japan 주거형식의 하나인 4채의 집이 한 지붕으로 되어 있는 `나가야`에서 한채를 잘라내어 그곳에 3.6M X
14.5M 의 콘크리트 상자를 끼워 넣었다. 이처럼 작은 15평 정도의 대지에 6인 가족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는 것은 그리 용
이한 일이 아닐것이다. 합리화된 기능주의는 세계의 모든 건축을 획일화하여 비합리성의 명목 아래 여유가 없는 공간을 초래하였다. 이것은 권위주의에 입각한 비인간적 공간,즉 기능주의와 모뉴멘틸한 것을 부정
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