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돈의 개발과 개량 체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0 17:30
본문
Download : 종돈의 개발과 개량 체계.hwp
조선농업연감(1920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돼지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1926년에 영국계통 버크셔종 10두가 日本(일본)의 규슈(九州) 지방에서 수입되었는데, 이것이 사천돈의 기반이 되었다고 한다.
1930년에는 日本(일본) 다찌가와(立川)종돈장에서 버크샤종 100두를 수입하여 수원 농사시험장에서 순종번식과 재래종과의 누진번식을 하였는데, 사양기술이 미숙한 농가에서는 잡종을 사육하게 되었다…(투비컨티뉴드 )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Ⅰ. 우리나라 양돈의 발전과정
다.종돈의 개발과 개량 체계
Download : 종돈의 개발과 개량 체계.hwp( 26 )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Ⅰ. 우리나라 양돈의 발전과정우리나라에서는 오랜시절부터 재래종돼지를 사육하여 왔으며 지방의 특성에 따라 지례돈(智禮豚), 강화돈(江華豚)... , 종돈의 개발과 개량 체계경영경제레포트 ,
우리나라에서는 오랜시절부터 재래종돼지를 사육하여 왔으며 지방의 속성 에 따라 지례돈(智禮豚), 강화돈(江華豚)...
Ⅰ. 우리나라 양돈의 발전과정
우리나라에서는 오랜시절부터 재래종돼지를 사육하여 왔으며 지방의 characteristic(특성)에 따라 지례돈(智禮豚), 강화돈(江華豚), 사천돈(泗川豚), 정읍돈(井邑豚)등이 사육되어 왔었다.
1903년에 요크셔종과 1905년에 버크셔종의 개량종이 처음 수입되어 사육되어 왔으나 이시기에 국내에서 사육되어오던 품종은 거의 재래종이거나 재래돼지교잡종으로서 전국에 약 57만두정도가 사육되었다.
버크셔종은 개량돈중에서 비교적 체질이 강한점과 모색이 흑색이어서 재래종과 교잡에 적당하였다. 버크셔잡종의 장려초기에는 사료이용성이 낮고 육미(肉味)가 기호에 적합치 않다는 이유로 평이 좋지 않았으나, 경제적가치가 재래돼지보다 우수한 점이 인식되어 사육희망자가 증가하여 종축의 공급이 뒤따르지 못하는 추세에 이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