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 해제의 effect 에 대한 법적검토 - 민법상 해제의 effect에 대한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5 21:52
본문
Download : 민법상해제의효과에대한법적검토.hwp
따라서 미이행채무는 소멸하고, 기이행채무는 법률상 Cause 없는 급부가 되어 수령자는 반환하여야 한다.
대판 77.5.24. 75다1394 계약에 따른 채무의 이행으로 이미 등기나 인도를 하고 있는 경우에 그 Cause 행위인 채권계약이 해제됨으로써 원상회복된다고 할 때, 그 theory(이론) …(To be continued )
민법상 해제의 effect 에 대한 법적검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민법상 해제의 효과 에 대한 법적검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대판 2001.6.29. 2001다21441 계약의 해제권은 일종의 형성권으로서 당사자의 일방에 의한 계약해제의 의사표시가 있으면 그 효과(效果)로서 새로운 법률관계가 발생하고 각 당사자는 그에 구속되는 것이므로, 일방 당사자의 계약위반을 이유로 한 상대방의 계약해제 의사표시에 의하여 계약이 해제되었음에도 상대방이 계약이 존속함을 전제로 계약상 의무의 이행을 구하는 경우 계약을 위반한 당사자도 당해 계약이 상대방의 해제로 소멸되었음을 들어 그 이행을 거절할 수 있따
2. 해제와 물권변동 - 물권적 효과(效果)설(판례)
Cause 행위인 채권계약이 해제되면, 이전하였던 권리는 당연히 복귀한다.
민법상,해제의,효과,에,대한,법적검토,-,민법상,해제의,효과에,대한,법적,검토,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민법상 해제의 효과(效果)에 대한 법적 검토
제548조 [해제의 효과(效果), 원상회복의무] ① 당사자 일방이 계약을 해제한 때에는 각 당사자는 그 상대방에 대하여 원상회복의 의무가 있따 그러나 제3자의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
1. 해제의 효과(效果) 일반
해제로 인해 채권?채무(전채권관계)는 소급적으로 소멸하여, 처음부터 계약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과 같은 효과(效果)가 생긴다. 이 경우, 매도인의 말소등기청구권은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이며, 따라서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다. 다만 그 반환의 범위는 현존이익에 한정하지 않고 원상회복으로 확대된다고 한다. , 민법상 해제의 효과 에 대한 법적검토 - 민법상 해제의 효과에 대한 법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민법상 해제의 효과 에 대한 법적검토 - 민법상 해제의 효과에 대한 법적 검토
민법상 해제의 effect 에 대한 법적검토 - 민법상 해제의 effect에 대한 법적 검토
설명
순서
Download : 민법상해제의효과에대한법적검토.hwp( 63 )




다. ② 전항의 경우에 반환할 금전에는 그 받은 날로부터 이자를 가하여야 한다.
제551조 [해지, 해제와 손해배상] 계약의 해지 또는 해제는 손해배상의 청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예컨대 매매계약이 해제되면 매수인에게 이전되었던 소유권은 당연히 매도인에게 소급하여 복귀하는 것이며, 매수인 명의의 이전등기가 말소되지 않아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