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학기 교육과정및평가 기말시험 the gis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3:11본문
Download : 20191_기말_교육2_교육과정및평가.pdf
제8장 교육목표(目標) 설정과 교육과정 설계
제7장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
④ 주요특징: 계획(unplanned)되지 않고, 기대(unexpected)되지 않으며, 쉽게 관찰되지 않음(invisible)
② 잠재적 교육과정이 작용하는 학교의 사태
(3) 드리븐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제6장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제11장 교육평가의 관념
③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지님
순서
① 잠재적 기능: 참여자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회적 제도나 활동의 결과 ex) 호피 인디언의 기우제: 명시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
- 군집: 다른 학생들과 어울려서 생활하는 법
- 학교는 사회에 나가기 전의 학생들에게 사회생활에 필요한 규범, 가치, 태도 등을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습시키는 장
제12장 교육평가의 유형
① 외국 학자들의 잠재적 교육과定義(정이) concept(개념)을 우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처음으로 체계화
- 상찬: 여러 유형의 형태의 평가 속에서 살아가는 법
- 성인 권위의 수용: 권위는 학교라는 조직의 제 1원리이며 학교생활을 통하여 혈연관계를 벗어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성인권위 인정하는 것을 학습 → 사회에 나가서 다양한 권위관계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음
설명
제15장 평가결과의 보고 및 해석
- 중략 -
① 학교교육이 수행하는 사회화 기능의 관점에서 分析(분석)
(2) 잭슨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 독립심, 성취감: 해결해야할문제의 수행 또는 시험 보는 행위를 통해 성취감과 자괴감 경험
(4) 김종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제5장 잠재적 교육과정
Download : 20191_기말_교육2_교육과정및평가.pdf( 60 )
제9장 교육과定義(정의) 적용
제14장 평가도구의 양호도 및 문항분석
방송통신 > 기말시험
(1) 개요
제10장 교육과정 평가
제13장 평가도구의 유형 및 개발
① 학교의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세 가지 특징
제5장 잠재적 교육과정
1.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전통적, 보수적 관점
2019년 1학기 교육과정및평가 기말시험 the gist체크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② 학교교육의 ‘루틴’한 부분: 학교생활의 의도되지 않은 부분 (routine vs highlight)
- 물리적 조건: 학생의 경험에 effect을 줄 수 있는 학교의 규모, 교신의 공간, 책상과 의자의 치수, 기타 시설설비





제5장 잠재적 교육과정 제6장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제7장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 제8장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과정 설계 제9장 교육과정의 적용 제10장 교육과정 평가 제11장 교육평가의 개념 제12장 교육평가의 유형 제13장 평가도구의 유형 및 개발 제14장 평가도구의 양호도 및 문항분석 제15장 평가결과의 보고 및 해석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 이러한 학교의 잠재적 기능이 없다면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適應(적응)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
- 권력: 조직의 권력관계를 인정하면서 살아가는 법
교육과정및평가,방통대교육과정및평가,방송대교육과정및평가,교육과정및평가시험,교육과정및평가요약,교육과정및평가기말시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