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이리의 교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2 22:29
본문
Download : 프레이리의 교사론_2045252.hwp
프레이리는 학습자들이 무관심과 순응주의-삶에서 퇴출 된 상태와 비슷하다-에서 벗어나 자신을 발견하도록 초대한다.
순서
프레이리의 교사론을 읽고 쓴 감상문입니다. 이는 첫째 프레이리의 방법이 오늘날 전 세계에서 응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프레이리와 문해에 관해 이야기할 때 그의 문해사상을 읽기와 쓰기 학습에 한정된 기법으로만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프레이리의 방법론을 명확히 해두자. 성인 문해학습자들을 향한 프레이리의 초대는 처음으로 학습자가 주어진 사회에서 삶을 꾸리고 생산하는 사람으로 자신을 인식하도록 만든다. 문해학습자들은 민중의 지위가 낮은 까닭이 신의결정도 숙명도 아니며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의정치경제적 이데올로기의 맥락 때문이라는 사실을 마침내 깨닫게 된다 사람들이 스스로 文化생사자임을 깨달을 때 읽고나서 , 쓰기의 중요성과 피료썽, 읽고나서 쓰기가 지닌 힘을 절감하는 첫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그때 그들은 문해자 즉 정치적으로 발언할 수 있는 사람이 된다 또 문해학습자들은 무엇을? 왜? 어떤…(skip)
Download : 프레이리의 교사론_2045252.hwp( 87 )
설명
다.프레이리의교사론 , 프레이리의 교사론감상서평레포트 ,
프레이리를 읽기 위하여
제 1부 교육자로서 산다는 것
머리말 : 교육학의 함정
첫 번째 편지 : 세계 읽기와 글읽기
두 번째 편지 : 난관에 대한 두려움으로 무능해지지 말라
세 번째 편지 : 교사가 되려는 사람들에게
네 번째 편지 : 진보적인 교사의 자질에 관하여
제 2 부 현장에서 가르치고 배우며
다섯 번째 편지 : 초임교사들에게
여섯 번째 편지 :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관계에 대하여
일곱 번째 편지 : 학습자들과 함께 대화하기
-학습자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에서 그들과 더불어 이야기하기까지
-학습자들에게 귀기울이는 것에서 그들이 귀기울이기까지
여덟 번째 편지 : 文化적 정체성과 교육
제 3부 교육현장에서 철학하기
아홉 번째 편지 : 구체적 맥락과 theory(이론)적 맥락
열 번째 편지 : 다시 한번 규율 문제에 대하여
맺 음 말 : 아는 것과 성장하는 것 -아직 검토해야 할 사항들
마치면서 : 프레이리를 읽고나서 난 후
프레이리의 교사론
-기꺼이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
프레이리를 읽기 위하여
이 책 프레이리의 교사론은 끊임없이 교육 실패자를 낳을 수밖에 없는 자본주의 은행 저금식 교육 모델에 중요한 답변을 제시한다.
프레이리의 철학 사상을 기계론적인 방법으로 치부해버리는 현상에 문제를 제기하기 전에 우리는 파울로 프레이리의 방법을 제대로 알아야한다.
,감상서평,레포트
프레이리의교사론






레포트/감상서평
프레이리의 교사론
프레이리의 교사론을 읽고 쓴 감상문입니다. 프레이리는 학습자들이 자신을 文化생산자로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文化의 인류학적 의미를 배우도록 이끈다. 도한 북미의 많은 자유주의 및 신자유주의 교육가들이 프레이리 교육학을 하나의 대안으로 생각하는 까닭을 명확하게 알 수 있따 그리고 이제 더 이상 프레이리의 교육학이 제 3세계에서만 적절하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이는 북미에 급속하게 제 3세계화하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따 또 학교를 민영화 또는 사립학교의 보급으로 사립학교를 선택할 수 있게 하자는 의견이 한때 나왔으나 이는 교육을 공교육으로서 더욱 확고히 하는 방향으로 하여야 함을 밝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