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9 20:42
본문
Download : 광고론_1136532.hwp
5점 척도에 의한 average(평균) 점수도 2.49점으로 중간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편 한국의 상품이미지에 대하여는 「전혀/별로 좋지 않다」49.2%, 「그저 그렇다」42.6%, 「매우/어느 정도 좋다」 8.2%로 평가하고 있어 국내의 해외광고 담당자들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재품의 대외적 이미지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국에서 귀사제품이 Made In Korea 임을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 를 질문한 결과 「매우 잘 알고 있다」가 30.0%, 「어느 정도 알고 있다」가 42.5%, 「그저 그렇다」14.2%, 「별로 잘 알지 못한다」 12.5%, 「전혀 잘 알지 못한다」는 응답이 0.8%의 순으로 나타나 비교적 제품의 인지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명, ( )안은 %}
구분
국가이미지
상품이미지
제품국적인지도
매우 좋다
어느 정도 좋다
보통
별로 좋지 않다
전혀 좋지 않다
3(2.5)
9(7.4)
44(36.4)
51(42.1)
14(11.6)
…(생략(省略))
광고론
순서
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해외광고 담당자들은 우리나라의 국가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우리나라 해외 광고 담당자들이 평가한 한국의 대외적 국가이미지는 우선 「 전혀/별로 좋지 않다」는 意見(의견)이 53.7%인 반면, 「매우/어느 정도 좋다」라는 긍정적인 평가는 9.9%에 불과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국가이미지가 대외적으로어떻게 비춰지는가 하는 문제는 해외에서의 제품판매에 매우 중요한 influence(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광고론_1136532.hwp( 87 )
광고론 , 광고론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광고론
3.국제 광고의 향후 assignment
(1)국제 광고에 대한 인력과 조직의 강화
(2)부정적 국가 상품 이미지 해소 위한 전담기구, 전문인력 양성의 시급
어떤 상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는 그 상품이 만들어진 국가가 어디인가 하는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품 제조국의 이미지가 상품구매의사, 선호도, 품질에 대한 평가 등을 change(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