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새만금 사업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2 11:15
본문
Download :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새만금 사업의 문제.hwp
새만금 사업에 의해 형성될 새만금호에 대한 우려는 96년 5월에 시화호 오염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서 형성되었다. 시화호는 새만금 사업과 같이 주변 바다를 방조제로 막아서 갯벌을 담수호로 만든 것이었는데, 방조제가 막히자 곧 심각한 오염에 시달리게 되었다.순서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새만금
2.새만금 사업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
새만금 사업의 환경적 影響에 대한 우려는 크게 두가지 정도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새만금 사업에 의해서 조성되는 담수호의 오염에 대한 우려이며, 다른 하나는 새만금 사업을 통해 사라지는 갯벌에 대한 우려이다. 오히려 새만금호의 수질 문제는 시화호보다도 더욱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아 왜냐하면 새만금호에 유입되는 만경강과 동진강의 수질이 시화호 당시의 상황보다도 더욱 나쁘기 때문일것이다 만경강과 동진강의 COD는 동기 대비 시화호의 그것보다 1.3배에서 4.6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질소량은 13배, 총인량은 9배 정도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시화호의 수질을 改善하기 위해서 당시 5000억원 정도의 자금이 투입되어야만 했는데, 이는 시화방조제 공사비용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금액이었다.새만금 ,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새만금 사업의 문제의약보건레포트 ,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새만금 사업의 문제
새만금 사업의 개요와 새만금 사업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에 대해서 설명(說明)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농림부는 새만금호의 염분제거와 수질改善을 위해 금강…(省略)
Download :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새만금 사업의 문제.hwp( 50 )
새만금 사업의 개요와 새만금 사업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설명
다. 새만금에 대한 문제제기가 처음 일어나던 무렵에는 전자의 문제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후자의 문제에 비중이 두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새만금호는 시화호와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새만금호가 제2의 시화호가 될 확률은 상당히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아 물론 사업을 추진하는 입장인 농림부에서는 이에 대해 반대의 意見을 달고 있다아 그것은 첫째, 시화호와 새만금호는 오염원의 분포, 유입하천의 수질, 호수의 물 순환주기, 수질대책준비기간 등 모든 면에서 시화호와 새만금호는 다르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제반 여건이 다르다고 해서 시화호에서 일어나는 오염이 새만금호에서 일어나지 않는다고 단정할 근거는 없는 것이 사실이며, 이는 이에 대한 주무부처인 환경부에서도 어느 정도 인정하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