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 발전사 - 우리나라 댐 건설 기술의 발전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4 21:47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발전사.hwp
청제는 530년(법흥왕 23년)에서 596년(진평왕 18년)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되어있따
고려 시대에는 오랜 전란 등으로 정치가 불안정하여 댐 건설에 특기할 만한 발전은 없었으나, 995년(성종 15년)에 공조 산하에 우수부(우수부)를 설치하는…(To be continued )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 발전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 발전사
설명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발전사,-,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발전사,법학행정,레포트
우리나라 댐 건설 기술의 발전사
1. 삼국시대~고려
우리나라는 아시아 몬순지역 특유의 다우지대이므로 일찍부터 물을 이용하는 쌀농사가 스타트되었고, 이와 더불어 관개용 수리 시설이 발달하게 되었다. ,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 발전사 - 우리나라 댐 건설 기술의 발전사법학행정레포트 ,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 발전사 - 우리나라 댐 건설 기술의 발전사




레포트/법학행정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 발전사 - 우리나라 댐 건설 기술의 발전사
다. 벽골제는 15m 이상이 아니므로 댐이라고는 할 수 없다. 기록상 남아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댐은 서기 330년(흘해왕 21년)에 축조된 김제 벽골제이다. 벽골제는 토사를 다져 만든 흙댐으로 길이 3,240m, 높이 4.3m, 댐 마루너비 7.5m, 댐 밑바닥너비 17.5m, 사용토량의 부피 161,253m3로서 고대의 토목공사로서는 상상 이상의 대규모 공사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댐 기술 발전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평탄한 지형에 3,240m에 걸쳐 높이 4.3m의 제언(堤堰)을 축조하면서 적용한 정밀도 높은 수준측량(水準測量) 기법을 높이 평가할 만 하기 때문일것이다 벽골제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신라가 축조한 것처럼 기록되어 있으나, 백제의 축조로 보는 것이 歷史 학계의 지배적인 견해로 되어있따
신라 시대에 축조되었다고 알려진 저수지로서 시제(矢堤), 의림지(義林池), 대제지(大堤池), 수산제(守山堤) 및 공검지(恭儉池)등이 유명하며 많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따 벽골제보다 약 백년 뒤인 429년(눌지왕 13년)에 벽골제보다 더 규모가 큰 시제를 쌓았다는 기록이 있으나 시제가 지금의 어느 곳인지 확인되지 않고 있따 삼국 시대의 제언으로서 현재까지 잔존하는 것은 김제의 벽골제, 영천의 청제(靑堤), 제천의 의림지, 밀양의 수산제 등이다.
Download : 우리나라댐건설기술의발전사.hwp( 21 )
순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보통 댐이라고 하면 높이가 15m 이상이어야 한다. 1968년 12월 신라 삼산 조사단에 의하여 영천에 있는 청제(청못)가 신라 시대에 축조된 제언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