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향가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4 13:11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 향가에 대해.hwp
비록 뜻과 말이 어긋나 성현의 묘미(묘미)에 알맞지 않겠으나 이 글귀를 전하여 범속(범속)의 선근(선근) 낳기를 바란다. 웃으면서 외우는 이는 송원(송원)의 인연을 맺게 될 것이며, 비방하면서 외우는 이도 염송(염송)의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그러나 원래의 서정성을 순수하게 지니지 못하고 불교적 교화를 표방하는 쪽으로 기울면서 이미 향가가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은 축소되고 있었기 때문에 향가의 모습은 변모할 수밖에 없었다.
,인문사회,레포트
고려시대 향가에 대해
고려시대 향가에 대해고려시대향가-보현십원가와도이장가 , 고려시대 향가에 대해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고려시대 향가에 대해.hwp( 81 )
레포트/인문사회
고려시대 향가에 대해






설명
순서
고려시대향가-보현십원가와도이장가
Ⅰ. 고려향가와 균여전
Ⅱ. 「보현십원가」
Ⅲ. 「도이장가」
Ⅰ.고려향가와 『균여전』
1.향가의 지속과 변이
신라시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던 향가는 고려시대에 들어서서도 일정기간동안 존속하였다. 「가행화세분(…(省略)
다. 다음날 공중으로 말하길, 너는 대사(대사)의 노래 덕으로 병이 반드시 나을 것이라 하더니 그 후에 곧 나았다. 「보현십원가(보현십원가)」는 과거제도가 처음 실시되는 등 새로운 시대의 이념과 제도가 정립되는 가운데 이를 외면하고 지나치게 교조적인 경향을 보임으로써 향가의 歷史적인 기능을 다하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따
2.『균여전』에 나타난 향가의 특성(特性)과 기능
①불교포교를 위한 발원 기원요의 성격
이제 흔히 아는 가까운 일에 의탁하여 도리어 생각하기 어려운 먼 종지(종지) 를 알게 할려고 10가지 큰 소원의 글을 열한가지 거친 노래를 지으니 이는 여러사람의 눈에는 극히 부끄럽지만은 여러 부처님 마음에 부합되기를 바란다. 이것은 文化(문화) 담당층이 연속되면서 고려 전기의 사회와 文化(문화)가 신라의 경우와 근본적인 동질성을 지니고 있었음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따 물론 문학적인 면에서 신라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고려중반기(13세기)까지 향가는 한시와 더불어 고려인들의 주요 시가생활을 차지하고 있었다. 「가행화세분(가행화세분)」
이 노래는 사람의 입으로 전파되어 때론 담과 벽에도 씌어졌다 사평군의 나필급간(나필급간)이 고질병으로 3년간 앓았는데, 의원의 치료로도 고치치 못하였는데 사(사)가 가서 보시고 그 고통을 민망하게 여기어 입으로 원왕가를 전해 주고 그에게 늘 읽기를 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