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평가론]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학기 정책평가론 B형]단절적 시계열分析의 의의와 advantage을 설명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5 18:44
본문
Download : 단절적시계열분석.hwp
단절적 시계열분석의 의의, 단절적 시계열분석의 장점, 단절적시계열분석, 시계열분석, 정책평가론
단절적 시계열 analysis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단절적 시계열 단순 설계이고, 다른 하나는 단절적 시계열 비교집단설계이다. 이를 먼저 보면 다음과 같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data)] 1. 정정길외 3명, 정책평가, 법영사, 2004.
- 다양한 자료(data)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방통대 2010-1학기 행정학과 4학년 정책평가론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정정길외 3명, 정책평가, 법영사, 2004. 2. 최봉기, 정책학, 한영사, 2004. 3. 안해균, 정책학원론, 다산출판사, 1997.
1) 단절적 시계열 단순설계의 장점
1) 단절적 시계열 단순설계의 장점
다. [그림2-1]에서는 교통사고건수를 Y축에 놓고, X축에는 날짜를 표시했다. A가 나타내듯이 1월 20일에는 순찰대상 고속도로에서의 교통사고가 15건 있었고, 1월 23일에는 D가 보여 주듯이 18건, 그리고 1월 24일에는 25건이 있었다. 2. 단절적 시계열 analysis의 장점
Download : 단절적시계열분석.hwp( 75 )
[정책평가론]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학기 정책평가론 B형]단절적 시계열分析의 의의와 advantage을 설명하시오
이상과 같은 순찰강화효율의 추정에는 문제가 있따 즉, 실정을 잘 아는 사람은 당장 위의 논리에서 drawback(걸점)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지적할 수 있따 1982년 1월 25일은 구정이다.
1. 단절적 시계열analysis의 의의




1. 단절적 시계열analysis의 의의
처음 이 방법을 이용했을 때는 실험설계로서가 아니라 비교집단을 이용하지 않는 전 실험적 설계(pre-experimental design)에서 얻은 시계열적 자료의 analysis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즉 단절이 일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전후의 많은 시계열 측정(測定) 치를 비교하여 정책의 효율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순찰강화를 처음 한 1월 25일에는 교통사고건수(F)가 보여 주듯이 5건, 그리고 1월 26일에는 10건이 있었다.
2) 단절적 시계열 비교집단설계의 장점
[그림2-1]과 같은 시계열자료를 놓고, 평가자가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따 순찰강화 이전인 1월 24일까지 계속적으로 교통사고건수가 늘어났기 때문에 이런 추세대로 나간다면, 아마 1월 25일에는 F`(즉 30건)만큼 교통사고가 있을 것이 아닌가? 그런데 순찰강화를 처음 한 1월 25일에 5건밖에 사고가 나지 않았으니 25건만큼(즉 ,F`의 30건에서 F의 5건을 뺀)이 순찰 강화로 교통사고가 감소되었다. 그래서 귀성객이 1월 24일까지 계속 늘어나서 교통사고도 많아지다가 1월 25일에는 구정일이기 때문에 교통량이 줄어들어서 교통사고가 줄어든 것이다. 즉, 1982년 1월 25일부터 1월 28일까지 4일 동안 고속도로 순찰을 강화했다고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구정인 1월 25일에 F만큼 사고가 났으니까 F`와 F의 차이가 순찰강화효율라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정책을 실시했는데도 실시하기 전의 일반적 추세가 지속된다면 이는 정책 효율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3. 안해균, 정책학원론, 다산출판사, 1997.
2. 최봉기, 정책학, 한영사, 2004.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2. 단절적 시계열 analysis의 장점
설명
고속도로 상에서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경찰을 많이 투입하여 순찰을 강화하고 이 순찰강화라는 시책의 효율를 판단하기 위해서 [그림2-1]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학기 행정학과 4학년 정책평가론 B형 참고자료(data)입니다
단절적 시계열analysis(interrupted time-series analysis)은 정책 결과 변수의 시계열 곡선의 단절을 이용하여 정책의 효율를 측정(測定)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의 추세를 보고 1월 25일에 F`만큼 사고가 날 것이라고 예측한 것 자체가 잘못이다. 그래서 순찰강화의 효율는 25건 만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