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d.co.kr 인수공통감염병 > cord1 | cord.co.kr report

인수공통감염병 > cord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rd1

인수공통감염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0 00:15

본문




Download : 인수공통감염병.hwp




인수공통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Download : 인수공통감염병.hwp( 69 )





인수공통감염병,의약보건,레포트

인수공통감염병 , 인수공통감염병의약보건레포트 , 인수공통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_hwp_01.gif 인수공통감염병_hwp_02.gif 인수공통감염병_hwp_03.gif 인수공통감염병_hwp_04.gif


순서

1. 인수공통감염병이란

새로운 감염증 (emerging infectious disease)이 세계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인수공통 감염병의 병원체에는 바이러스부터 기생충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고, 주요 감염원은 온혈동물이고, 야생동물과 가축도 감염원이 된다 감염병분류에는 직접 인축 공통 전염병, 주기 인축 공통 전염병, 변태 인축 공통 전염병, 부패 인축 공통 전염병이있는데 최근에는 돼지인플루엔자(H5또는 H7 혈청형 바이러스 및 신종인플루엔자A(H1N1)가 새로 포함된다고 한다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전염병은 개발도상국을 제외한 나라에서는 드물어졌다. 그러나 인수공통 감염병은 선진국에서도 계속 발생하고 있따 동물은 사람의 식품원이고, 수송이나 노동 수단이 되며, 애완동물이 된다 사람은 동물과의 직접적인 접촉, 동물성 식품 섭취, 또는 동물이 오염시킨 물로 인해서 감염이 된다
공수병이나 탄저 등 중증 감염은 동물의 예방접종 등 예방대책을 철저히 하여 그 감염이 현저히 줄어들었으나, 경증인 감염은 외국에서도 많은 발생이 보고되고 있따 인수공통 감염병을 예방하기란 쉬운 문제가 아닌데, 그 이유는 가축은 그 수명이 짧고 면역성이 없는 동물이 많아서 감염이 계속해서 생기며, 집단사육으로 인해 감염이 무리 전체에 퍼지기 쉽고, 감염동물이 임상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일것이다 또한 야생동물의 감염 예방은 거의 불가능하기에 일부 선진국에서도 페스트, 공수병 혹은 라임병이 계속 발생하고 있따 근래는 국외 여행자수 증가와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이 많아지고, 기호식품의 alteration(변화) 로 인수공통 감염병이 발생하는 경우…(skip)





다. 이들 병원체의 병원소는 대부분이 고등 동물이나 절지동물이지만, 한편 원래는 동물의 병원체이던 것이 사람에게 적응한 HIV 같은 것도 있따 인수공통 감염병이란 같은 병원체가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지만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감염증, 그 중에서도 전염성 감염을 더 중요시하게 된다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이기도 하다.
전체 18,08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r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