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2 12:01
본문
Download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hwp
1. 지배이데올로기 구축기(政府(정부)수립~한국전쟁 정전)
이 시기는 반공 ? 반북의 지배이데올로기가 분단국가, 국가보안법. 한국전쟁을
통하여 물리적, 법적, 심리적 기반을 구축하고, 민족 ? 민중 ? 자주…(省略)
다.
레포트/인문사회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북한 사 검토와 기존 북한 방법 비판적 검토
설명
북한,사,검토와,기존,북한,방법,비판적,검토,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Download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hwp( 86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목차
Ⅰ. 북한 연구사의 검토
1. 지배이데올로기 구축기(政府(정부)수립~한국전쟁 정전)
2. 지배이데올로기 정착기(한국전쟁 정전~4월혁명)
3. 저항이데올로기 표면화 시기(4.19혁명~5.16쿠데타)
4. 지배이데올로기 재구축 및 강화시기(5.16~광주항쟁)
5. 민족 · 민중 · 자주통일의 저항이데올로기 강화기(광주항쟁~남북합의서채택)
6. 이데올로기 각축기(남북합의서 이후)
Ⅱ.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전체주의적 접근
2. 동원정권모형
3. 수렴theory
4. history(역사) · 文化(문화)적 접근법
5. 행태주의적 접근방법
6. 평면적 비교방식
7. 주체사관에 입각한 서술
bibliography
I. 북한 연구사의 검토
우리는 북한 연구사도 인식의 이데올로기성과 과학자 성원간의 힘관계에 의해
정형화되어 봤다고 볼 수 있따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여 체제유지에 이용하
려는 것...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목차
Ⅰ. 북한 연구사의 검토
1. 지배이데올로기 구축기(政府(정부)수립~한국전쟁 정전)
2. 지배이데올로기 정착기(한국전쟁 정전~4월혁명)
3. 저항이데올로기 표면화 시기(4.19혁명~5.16쿠데타)
4. 지배이데올로기 재구축 및 강화시기(5.16~광주항쟁)
5. 민족 · 민중 · 자주통일의 저항이데올로기 강화기(광주항쟁~남북합의서채택)
6. 이데올로기 각축기(남북합의서 이후)
Ⅱ.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전체주의적 접근
2. 동원정권모형
3. 수렴theory
4. history(역사) · 文化(문화)적 접근법
5. 행태주의적 접근방법
6. 평면적 비교방식
7. 주체사관에 입각한 서술
* bibliography
I. 북한 연구사의 검토
우리는 북한 연구사도 인식의 이데올로기성과 과학자 성원간의 힘관계에 의해
정형화되어 봤다고 볼 수 있따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여 체제유지에 이용하
려는 것과 이에 전적으로 영합하여 북한사회를 주어진 틀밖의 차원에서 analysis 및
이해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북한연구 즉 관변연구, 비록 관의 기계적인 시각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자본주의체제의 history(역사) 적 진보성을 전적으로 수용하면서 보다
객관성이나 과학성에 근접하려는 자유주의적 연구, 사회개혁, 변혁운동 및 저항
이데올로기와 접합된 진보적 연구의 3축으로 북한연구사 흐름의 가닥을 단순화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러한 북한연구의 경향성은 history(역사) 적으로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의
대립랄등의 전개과정, 이에 커다란 effect을 받아 진행되는 학문공동체의 역학관
계, 남북관계라는 3축을 중심으로 틀지워 졌다고 보고, 연대기적으로 북한인식
및 연구경향성의 變化(변화)과정을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