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세계사 정리(arrang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0 08:10
본문
Download : 세계사_정리.hwp
공화정
(1) 건국 : BC 8세기 라틴 인이 티베르 강변에 세운 도시 국가
③ 12표법 제정(BC 450)
다. 1. 로마 공화정이 평민 세력 확대 과정을 說明(설명) 하시오.
② 내용
① 군인 정치가(군벌)의 대두 : 사병화된 군대를 배경으로 등장
-
∙동맹 체제 - 피정복지와 동맹 체제 유지
⑤ 악티온 해전(BC 31) : 옥타비아누스의 승리로 로마의 패권 장악, 헬레니즘 폐막
(395)
원시 게르만 사회를 알려주는 사서
⑤ 호르텐시우스법(BC 272)
병사회
<1> 공화定義(정이) 발전
(1) 발달 과정 : 관습법 → 시민(Citizen)법 → 만민법 → 자연법(스토아 철학)
㉡ 호민관을 의장으로 한 평민회(트리부스회) 설치 : 호민관 선출
← 전 제 군 주 정 →
∙공화정 말기로 민주 공화정 몰락, 라티푼디움,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자영농 몰락
<2> 로마의 팽창
← 원수정 →
㉠ 집정관 1명을 부유 평민층에서 선출
(2) 공화定義(정이) 성립
∙정복 전쟁이 사라짐에 따라 노예의 공급이 끊어지게 되면서 예전의 노예 및 몰락 농민(colonus ; 부자유 소작인)을 기반으로 제정 말기에 성립된 소작제 대농장
정치발전과 영토발전 동시 진행
3. 로마의 발전과 문화
(3) 제국의 분열과 멸망
민회
[2] 로마 제국의 번영과 쇠망
(서)로마 제국의 쇠망 요인
㉠ 티페리우스(형) : 리키니우스법의 제한을 넘어 불법으로 점유한 토지를 몰수하여 무산 시민(Citizen)에게 분배하려는 농지법으로 개혁안 제시
② 동부 지중해 통일 → 헬레니즘 세계 통일(BC 31, 악티온 해전)
(3) 라티푼디움 발생 : 노예 노동에 의한 대농장 경영
∙서사시 : 베르길리우스(아에네이드)
㉠ 황제권의 강화 : 전제 군주제 완성
로마는 포에니 전쟁이후 제국주의 정책으로 전환하여 모든 정복지를 속주로 편성하고 군사・민사의 전권을 가진 총독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포에니 전쟁과 로마의 대외 정책은 로마 사회 내부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벌족파와 평민파 ∙벌족파 : 원로원을 중심으로 고위 정무 관직을 독점한 보수 세력 ∙평민파 : 벌족파에 대항하여 평민의 이익을 옹호한 세력, 평민회의 최고 결정권 강조 악티온 해전 제2차 삼두 정치에서 레피두스가 물러나고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가 대결하게 되었는데,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와 결탁한 안토니우스가 악티온에서 패배하였다.
㉣ 귀족과 평민의 통혼 인정
성산 사건
→
[인문사회] 세계사 정리(arrangement)
(1) 이탈리아 반도의 통일(BC 272) : 북쪽의 에트루리아 인과 남쪽의 그리스 식민 도시 정복
로마의 정복지 통치 정책
민주 공화정
∙서정시 : 호라티우스, 오비디우스
→
② 호민관과 평민회의 설치(BC 494)
[연습문제]
자연과학
① 원인(原因) : 지중해 해상권을 둘러싸고 카르타고와 충돌
[ 로마 제정이 변천 ]
(2) 벌족파와 평민파의 대립 :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을 계기로 대립
① 아우구스투스 시대
Download : 세계사_정리.hwp( 40 )

(96~180)
∙화폐 경제의 붕괴 → 자연 경제로의 전환 → 콜로나투스 제 성행
③ 결과 : 로마의 서부 지중해 패권 장악
∙평민파 : 벌족파에 대항하여 평민의 이익을 옹호한 세력, 평민회의 최고 결정권 강조
(2) 실용적・실제적 文化 : 법률, 토목, 건축 등이 발달
∙자영농의 몰락 → 시민(Citizen)군의 붕괴 → 용병제 대두(게르만 인)
-
∙면세특권 : 중세 장원의 불입권으로 발전, 고위 관직자 등 유력한 지배층이 보유
㉠ 서 로마 : 게르만의 용병대장 오도아케르에게 멸망(476) → 서양 고대의 멸망
① 시작 : 에트루리아 인 왕을 축출하고 귀족들의 공화정 성립(BC 6세기말)
② 19세기 랑케 : 로마는 歷史에 있어 일대 호수이다. 기원전 2세기 후반 호민관이 된 그라쿠스 형제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유력자의 토지 소유를 제한하고 농민들에게 토지를 재분배하려 했지만 대토지 소유자들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오랜 전쟁 때문에 전사로 나갔던 자영 농민층이 몰락한 반면 유력자들은 대토지를 소유하고 노예 노동을 이용해 부를 축적하였으며, 속주에서 값싼 농산물을 수입하여 막대한 차익을 챙겼다. ← 서양 중심 歷史
(1) 철학 : 스토아 철학 → 세네카(행복론), 마르크스 아우렐리우스 - 세계 제국 기반 사상 제공
귀족 공화정
로마의 문학
㉠ 귀족, 평민, 노에의 사회 구성
㉠ 제정이 기반 확립 : 세제 개편, 공공 사업
(2) 歷史 : 리비우스(로마사), 타키투스(게르마니아), 폴리비우스
<2> 로마 제국의 쇠망
BC 494년 삼니테 족을 토벌하는데, 귀족들의 약속에 따라 참전했던 평민들이 전후 약속이 취소되자 로마 근교의 성산에 모여 귀족에 항거한 사건
㉢ 원로원 결의에 대한 거부권・간섭권 행사 : BC 287부터는 입법권 보유
[3] 로마 文化
(476)
제2차 삼두 정치에서 레피두스가 물러나고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가 대결하게 되었는데,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와 결탁한 안토니우스가 악티온에서 패배하였다. 기원전 287년 평민회의 결의를 원로원의 승인 없이 국법으로 인정하는 호르텐시우스 법을 제정하여 귀족과 평민이 법률상 평등화되었다.
∙프롤레마이우스 : 천동설
(1)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BC 133, 123)
② 제1차 삼두 정치(BC 60) : 카이사르, 폼페이우스, 크라수스
② 멸망
②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 가이우스(동생) : 가난한 시민(Citizen)에게 시장가격보다 싸게 곡물을 판매하는 곡물법과 식민시를 건설하여 무산 시민(Citizen)의 이주와 에퀴테스와 노빌레스를 분리시키고자 함
(1) 신흥 지배층의 대두 : 부유 평민, 속주 촌주, 징세 청부업자 등
④ 자연법
① 마케도니아, 시리아, 그리스를 정복하여 지중해 전역을 지배(BC 2세기) → 지중해는 로마의 호수
① 그리스 文化, 오리엔트 文化, 헬레니즘 文化의 융합 → 보편적인 세계 文化 형성 ⇒ 유럽・이슬람에 전달
㉢ 집정관 : 최고 행정관(2인) ⇒ 원로원에서 선출(임기 1년)
순서
∙자영농의 성장 ┌ 양적 증가 - 정복지 분급
④ 리키니우스・섹스티우스법(BC 367)
설명
③ 카이사르의 독재 : 빈민 문제 처리, 속주 통치 개선, 새로운 달력 제정(율리우스 력)
왕정
∙벌족파 : 원로원을 중심으로 고위 정무 관직을 독점한 보수 세력
∙포에니전쟁(BC 264)부터 제정 성립(BC 27)까지
∙트리부스회 : 평민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사회적 변동
<1> 文化의 특징
㉡ 원로원, 집정관, 민회(쿠리아회) 성립 : 모두 귀족(대지주) 중심
∙쿠리아회 : 귀족회
벌족파와 평민파
㉠ 전제 군주정 확립
㉢ 평민에게 관식 개방
제정
㉡ 귀족과 평민의 법률상 동등화
동・서 로마의 분열
② 기사 계급(에퀴테스) : 속주의 징세 청부업자나 사업으로 치부한 사람
㉡ 귀족의 대토지 소유 제한(자영농 보호)
① 관습법 : 불문법
㉢ 평민권익의옹호
-
㉠ 보편적 성격(이성, 정이, 평등 입각), 실정법의 근원
원수정
③ 만민법 : 세계 제국, 노예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적용(세계적)
① 목적 : 토지의 재분배를 통한 자영농의 육성 → 중장보병 재건
<4> 공화정이 종말
㉡ 중흥 정치 : 관료제・신분제 정비, 크리스트 교 공인(313), 비잔티움 천도
∙BC 5세기 후반에 도입된 팔랑크스의 전술과 이에 따란 시민(市民)군의 새로운 편제를 바탕으로 성립
(2) 전제 군주정 시대
① 평민 세력의 성장 : 평민의 경제적, 군사적 역할의 증대, 참정권 요구 → 귀족과 평민의 대립 초대
디오클레티아누스
② 5현제 시대(96~180) : 정치적 안정, 속주민에 로마 시민(Citizen)권 부여, 군사적 현상 유지, 무역의 발달
(3) 평민 세력의 증대
㉢ 이 무렵 반도 통일, 자영농의 수적・권리 증가
(2) 중소 농민의 몰락
<2> 법률 : 로마 文化의 최대 유산
∙토지를 가진 로마 시민(市民)을 신분 구별없이 재산정도에 따라 구분(군사조직을 토대로 한 시민(市民) 총회)
(2) 건축 : 콜로세움(투기장), 공중 목욕장, 개선문, 판테온 신전
→
㉡ 근대 정치사상에 影響(영향) : 정이와 형평에 입각하여 현실 모든 법(실정법)의 토대가 됨
(1) 토목 : 국가 통치・군사・교역을 위해 도로와 수도 건설
(4) 사회 혼란 : 빈부 격차, 사치 유행, 노예 반란 등
인문, 사회, 세계사, 정리, 요약, 노예, 노동, 빈부, 격차, 라티푼디움, 사회, 혼란
④ 제2차 삼두 정치(BC 43) : 옥타비아누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
② 시민(Citizen)법 : 성문법(12표법 이후), 로마 시민(Citizen)권자에게만 적용
㉡ 문예의 발달 : 라틴 문학의 황금 시대
② 제1시민(Citizen)(princeps)을 자처하여 외형상 공화정이 형식을 취하면서 사실상 전제 군주로 군림 → 제정이 처음
① 속주 군단의 사령관을 황제로 옹립 → 50년간 26명의 황제 즉위
서 로마 멸망
③ 상공업 쇠퇴
2. 로마 공화정이 쇠퇴 과정을 說明(설명) 하시오.
(1) 고대 문명의 완성
㉡ 동 로마 : 오스만 투르크에게 멸망(1453) → 서양 중세의 말기
(3) 동부 지중해 진출
<3> 토목・건축
(BC 27)
㉣ 병사회(군인회) 설립
①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3세기 말)
[1] 로마 공화定義(정이) 변천
아우구스투스
콜로나투스
-
① 분열 : 테오도시우스 황제 사후에 동・서 로마로 분열(395)
(235~285)
(2) 로마의 평화 : 아우구스투스 이래 약 200년간 → 로마 제국의 전성기(BC 27 ~ AD 180)
∙플리니우스 : 박물지
∙황제권 동요, 관료의 부패와 부능, 인구 감소, 게르만 족 침입, 사치・향락 풍조 만연, 지방 분권화 촉진
(3) 반란의 계속
① 옥타비아누스가 원로원으로부터 아우구스투스(존엄한 자)라는 칭호를 받음
② 경과 : 3차전의 결과 카르타고 멸망
내란의 세기
② 노예의 반란 : 검투사의 반란(스파르타쿠스의 난)
① 벌족(nobiles) 형성 : 부유한 평민이 구귀족과 합류하여 형성
③ 결과 : 벌족 세력이 지배하는 원로원의 반대로 실패
㉡ 귀족의 횡포 방지 : 귀족의 자의적인 법률 해석 견제
악티온 해전
㉠ 로마 최초의 성문법
<1> 로마 제국의 발전 : 제정이 성립
콘스탄티누스
(3) 문학 : 키케로, 베르길리우스, 호라티우스 →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황금기 구가
㉣ 로마법 대전 :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때 편찬(6세기)
<4> 학문 : 그리스 文化의 모방
㉢ 현실적인 법을 초월한 현실의 법을 가능하게 하는 보편적 원리
∙집정관 선출, 전쟁・강화 결정, 기타 입법권
② 귀족적 공화정
군인황제 시대
→
∙산문 : 키케로
∙병사회 : 군인회
5현제 시대
㉡ 제국의 4분 통치
② 유력자들이 농민 토지 매점, 공유지 선취, 대토지 사유화
3. 로마의 발전과 문화 왕정 → 귀족 공화정 → 민주 공화정 → 원수정 → 전제 군주정 공화정 제정 [ 로마의 정치적 변천 ] - 영토발전과 관련 [1] 로마 공화정의 변천 <1> 공화정의 발전 (1) 건국 : BC 8세기 라틴 인이 티베르 강변에 세운 도시 국가 (2) 공화정의 성립 ① 시작 : 에트루리아 인 왕을 축출하고 귀족들의 공화정 성립(BC 6세기말) 민회 ∙쿠리아회 : 귀족회 ∙트리부스회 : 평민회 ∙병사회 : 군인회 ② 귀족적 공화정 ㉠ 귀족, 평민, 노에의 사회 구성 ㉡ 원로원, 집정관, 민회(쿠리아회) 성립 : 모두 귀족(대지주) 중심 ㉢ 집정관 : 최고 행정관(2인) ⇒ 원로원에서 선출(임기 1년) ㉣ 원로원 : 최고 의결 기관 ⇒ 300명의 귀족으로 구성(종신제) (3) 평민 세력의 증대 ① 평민 세력의 성장 : 평민의 경제적, 군사적 역할의 증대, 참정권 요구 → 귀족과 평민의 대립 초대 성산 사건 BC 494년 삼니테 족을 토벌하는데, 귀족들의 약속에 따라 참전했던 평민들이 전후 약속이 취소되자 로마 근교의 성산에 모여 귀족에 항거한 사건 병사회 ∙BC 5세기 후반에 도입된 팔랑크스의 전술과 이에 따란 시민군의 새로운 편제를 바탕으로 성립 ∙토지를 가진 로마 시민을 신분 구별없이 재산정도에 따라 구분(군사조직을 토대로 한 시민 총회) ∙집정관 선출, 전쟁・강화 결정, 기타 입법권 내란의 세기 ∙포에니전쟁(BC 264)부터 제정 성립(BC 27)까지 ∙공화정 말기로 민주 공화정 몰락, 라티푼디움,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자영농 몰락 ② 호민관과 평민회의 설치(BC 494) ㉠ 성산 사건을 계기로 호민관제 마련 ㉡ 호민관을 의장으로 한 평민회(트리부스회) 설치 : 호민관 선출 ㉢ 원로원 결의에 대한 거부권・간섭권 행사 : BC 287부터는 입법권 보유 ③ 12표법 제정(BC 450) ㉠ 로마 최초의 성문법 ㉡ 귀족의 횡포 방지 : 귀족의 자의적인 법률 해석 견제 ㉢ 평민권익의옹호 ㉣ 귀족과 평민의 통혼 인정 ④ 리키니우스・섹스티우스법(BC 367) ㉠ 집정관 1명을 부유 평민층에서 선출 ㉡ 귀족의 대토지 소유 제한(자영농 보호) ㉢ 평민에게 관식 개방 ㉣ 병사회(군인회) 설립 ⑤ 호르텐시우스법(BC 272) ㉠ 평민회의 결의를 원로원의 승인 없이 국법으로 인정 ㉡ 귀족과 평민의 법률상 동등화 ㉢ 이 무렵 반도 통일, 자영농의 수적・권리 증가 <2> 로마의 팽창 (1) 이탈리아 반도의 통일(BC 272) : 북쪽의 에트루리아 인과 남쪽의 그리스 식민 도시 정복 (2) 포에니 전쟁(BC 264~146) : 서부 지중해 통일 ① 원인 : 지중해 해상권을 둘러싸고 카르타고와 충돌 ② 경과 : 3차전의 결과 카르타고 멸망 ③ 결과 : 로마의 서부 지중해 패권 장악 (3) 동부 지중해 진출 ① 마케도니아, 시리아, 그리스를 정복하여 지중해 전역을 지배(BC 2세기) → 지중해는 로마의 호수 ② 동부 지중해 통일 → 헬레니즘 세계 통일(BC 31, 악티온 해전) 정치발전과 영토발전 동시 진행 ∙자영농의 성장 ┌ 양적 증가 - 정복지 분급 └ 권리 증가 ∙동맹 체제 - 피정복지와 동맹 체제 유지 <3> 사회적 변동 (1) 신흥 지배층의 대두 : 부유 평민, 속주 촌주, 징세 청부업자 등 ① 벌족(nobiles) 형성 : 부유한 평민이 구귀족과 합류하여 형성 ② 기사 계급(에퀴테스) : 속주의 징세 청부업자나 사업으로 치부한 사람 (2) 중소 농민의 몰락 ① 농지의 황폐화와 값싼 곡물의 유입 등이 원인 → 빈민의 로마 유입으로 사회 불안 야기, 공화정 기반 붕괴 로마의 정복지 통치 정책 로마는 포에니 전쟁이후 제국주의 정책으로 전환하여 모든 정복지를 속주로 편성하고 군사・민사의 전권을 가진 총독을 파견하였다. ② 유력자들이 농민 토지 매점, 공유지 선취, 대토지 사유화 (3) 라티푼디움 발생 : 노예 노동에 의한 대농장 경영 (4) 사회 혼란 : 빈부 격차, 사치 유행, 노예 반란 등
㉣ 원로원 : 최고 의결 기관 ⇒ 300명의 귀족으로 구성(종신제)
전제 군주정
- 정복 사업의 중단
② 이민족의 침입 : 게르만 족, 사산 조 페르시아
(4) 삼두 정치
-
(1) 원수정치
타키투스 ‘게르마니아’,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 로 마 의 평 화 →
① 동맹시의 반란 : 이탈리아 동맹시의 반란
[ 로마의 정치적 변천 ] - 영토발전과 관련
└ 권리 증가
① 농지의 황폐화와 값싼 곡물의 유입 등이 원인(原因) → 빈민의 로마 유입으로 사회 불안 야기, 공화정 기반 붕괴
(2) 포에니 전쟁(BC 264~146) : 서부 지중해 통일
㉠ 평민회의 결의를 원로원의 승인 없이 국법으로 인정
㉠ 성산 사건을 계기로 호민관제 마련
(1) 군인 황제 시대(235~285)
기원전 3세기경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한 로마는 지중해의 해상권을 둘러싸고 벌어진 카르타고와의 기나긴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하여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한 후 활발한 대외 팽창 정책을 통하여 지중해 연안에 많은 속주를 두었다.
평민의 경제적, 군사적 역할이 증대되면서 귀족과 평민의 대립을 초래하였다. 기원전 494년 성산 사건을 계기로 호민관제가 마련되고, 호민관을 의장으로 한 평민회를 설치하였으며, 기원전 450년 로마 최초의 성문법인 12표법을 제정하여 귀족의 횡포를 방지하였으며, 기원전 367년 리키니우스・섹스티우스법이 통과되어 집정관 1인을 평민 중에서 선출하며 귀족의 대토지 제한과 평민에게 관직을 개방하였다. 그 후 로마는 내란 상태에 접어들었으며 군벌들의 득세로 1・2차에 걸친 삼두 정치가 이루어졌다가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공화정이 막을 내리고 제정이 처음 되었다. 토지의 상실과 농산물 가격의 폭락으로 몰락한 농민들이 로마로 대거 유입되어 도시 빈민으로 전락하면서 자영 농민층을 토대로 유지되던 로마 공화정이 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