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체벌에 대하여 반대의 견 4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3 17:09
본문
Download : [교육학] 체벌에대하여-반대의견.hwp
그러나 꾸중을 할 때에 신체적 접촉을 하는 것은 가장 비이성적이며 비교육적이다. 훈육은 분노와 혐오 같은 개인적인 요소가 개입되어서는 안 되며, 솔직함과 진실한 목적으로 훈육함으로써 학생 자신이, 그 ...
첫째, 체벌을 가하는 자의 개인적 감정이 배제되어야 한다. ‘교육적 체벌’로 규정할 수 있는 체벌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체벌을 가하기 전에 체벌을 가하는 교사는 반드시 학생의 잘못을 지적하여야 하고, 이에 대해 학생이 동의하였을 때 비로소 체벌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때만이 체벌의 교육적 효과가 보장된다
『 체벌에 관하여... 』
『 체벌에 관하여... 』 《체벌행위에 찬성》 교육적 원칙이 전제되지 ...
Download : [교육학] 체벌에대하여-반대의견.hwp( 19 )
[교육학] 체벌에 대하여 반대의 견 4
교육적 원칙이 전제되지 않는 체벌은 체벌이 아니라 폭력이다. 교사는 체벌 상황에 부닥쳤을 때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여야 하며, 바로 이것이 ‘교육적 체벌’의 전제조건이 된다
《체벌행위에 찬성》

설명
둘째, 체벌을 가할 때에는 반드시 탄력적인 매개체를 통해서 해야 한다. 사랑을 표현할 때에는 신체적 접촉이 가장 이상적이다. 체벌을 가하는 교사가 이성을 상실하면 감정적 폭력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 그리하여 체벌이 끝난 이후에, 체벌을 당한 학생의 마음보다도 체벌을 가한 교사의 마음이 더 아플 때. 바로 이러한 교사의 체벌이 교육적 차원의 사랑의 매이다.
다. 그러므로 체벌상황에서 교사는 반드시 매개체, 즉 회초리를 통해서 체벌을 행사해야 한다.
셋째, 체벌 이유를 반드시 학생에게 인지시키고, 이에 학생이 동의해야 한다.
다섯째, 체벌 후에는 반드시 충분한 대화시간을 가져야 한다. 체벌을 꼭 해야 할 경우에 교사가 가져야 할 기본자세는 제자에 대한 애틋한 사랑과 연민의 정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의 회초리는 반드시 탄력성이 좋은 손가락 굵기 이하의 회초리여야 한다. 체벌과 폭력은 분명히 다른 것이고, 따라서 체벌과 폭력은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
교육학 체벌에 대하여 반대의 견 4
『 체벌에 관하여... 』 《체벌행위에 찬성》 교육적 원칙이 전제되지 ...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넷째, 상황에 따라 학생이 깊이 반성하면서 뉘우치고 있는 태도가 뚜렷이 엿보일 때에는 체벌 대신에 따스한 충고와 격려로 체벌을 대신할 수도 있어야 한다.